찰스 아사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찰스 아사티는 케냐의 육상 선수로, 주로 단거리 및 릴레이 경기에 출전했다. 그는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 4x400m 릴레이에서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1970년 코먼웰스 게임에서 400m와 4x400m 릴레이에서 금메달을, 200m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1972년 뮌헨 올림픽에서는 400m에서 4위를 했지만, 4x400m 릴레이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또한, 1973년 전 아프리카 게임과 1974년 코먼웰스 게임에서도 400m와 4x400m 릴레이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선수 경력을 마무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4년 브리티시 코먼웰스 게임 메달리스트 - 마이클 웬던
- 1974년 브리티시 코먼웰스 게임 메달리스트 - 돈 쿼리
돈 쿼리는 1970년대 100m와 200m에서 뛰어난 기량을 보인 자메이카 육상 선수로, 코먼웰스 게임과 팬 아메리카 게임에서 금메달을 획득하고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200m 금메달,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100m 은메달,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 200m 동메달을 획득하며 자메이카 육상의 위상을 높이고 카리브해 지역 전체의 스포츠 영웅으로 자리매김했다. - 1974년 브리티시 코먼웰스 게임 육상 참가 선수 - 시티베니 람부카
피지의 정치인이자 군인인 시티베니 람부카는 1987년 군사 쿠데타로 권력을 장악하고 피지 공화국을 선포한 후, 민주적 선거를 거쳐 총리를 역임했으며 2022년 다시 총리로 복귀했고, 레바논 내전 파병 공로로 대영 제국 훈장을 받았다. - 1974년 브리티시 코먼웰스 게임 육상 참가 선수 - 애머스 비워트
애머스 비워트는 1968년 멕시코 시티 올림픽 3000m 장애물 경기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케냐 육상의 위상을 높인 케냐의 육상 선수이다.
찰스 아사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개인 정보 | |
이름 | 찰스 아사티 |
출생일 | 1946년 3월 3일 |
국적 | 케냐 |
직업 | 육상 선수 (전직) |
종목 | 육상 |
세부 종목 | 단거리 달리기 |
올림픽 메달 | |
올림픽 | 육상 |
은메달 |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 - 1600미터 계주 |
금메달 | 1972년 뮌헨 올림픽 - 1600미터 계주 |
2. 선수 경력
찰스 아사티는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 1970년 코먼웰스 게임, 1972년 뮌헨 올림픽, 1973년 전 아프리카 게임, 1974년 코먼웰스 게임 등 여러 국제 대회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둔 케냐의 육상 선수이다.
연도 | 대회 | 개최지 | 종목 | 결과 | 기록 |
---|---|---|---|---|---|
1968 | 올림픽 | 멕시코시티 (멕시코) | 4×400m 릴레이 | 2위 | 2분 59초 6 |
1970 | 코먼웰스 게임 | 에든버러 (스코틀랜드) | 200m | 3위 | 20초 74 |
400m | 1위 | 45초 01 | |||
4×400m 릴레이 | 1위 | 3분 03초 63 | |||
1972 | 올림픽 | 뮌헨 (서독) | 400m | 4위 | 45초 13 |
4×400m 릴레이 | 1위 | 2분 59초 8 | |||
1973 | 전 아프리카 게임 | 라고스 (나이지리아) | 400m | 1위 | 46초 31 |
1974 | 코먼웰스 게임 | 크라이스트처치 (뉴질랜드) | 400m | 1위 | 46초 04 |
4×400m 릴레이 | 1위 | 3분 04초 43 |
2. 1. 초기 경력
그는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 200m 8강에 진출하였고, 1600m 릴레이에서 2분 59.6초와 함께 놀라운 은메달을 획득한 케냐 팀의 일원이었다. 1970년 코먼웰스 게임에서 아사티는 400m와 1600m 릴레이에서 금메달을 획득하고, 200m에서 3위를 하였다.뮌헨 올림픽에서 그는 400m 4위를 하고, 케냐 1600m 릴레이 팀의 일원으로서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이듬해 라고스에서 열린 올아프리카 게임에서 400m와 릴레이를 우승하였다. 1974년 코먼웰스 게임에서 다시 양종목을 우승한 후, 자신의 육상 경력을 끝냈다.
아사티는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 단거리 3종목에 출전했다. 100m는 10.63초로 예선 탈락, 200m는 20.66초로 2차 예선에서 탈락했다. 그러나 헤제키아 냐마우, 나프탈리 본, 다니엘 루디샤와 함께 출전한 4×400m 릴레이에서는 미국에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1970년 스코틀랜드 에든버러에서 열린 코먼웰스 게임에서 200m는 20.74초로 3위였지만, 400m에서 45.01초로 우승, 4×400m 릴레이도 3분 3초 63으로 우승했다.
1972년 뮌헨 올림픽 400m에서는 미국의 선수들과 케냐의 줄리어스 상에 이어 4위를 차지하여 메달 획득에 실패했다.
하지만, 400m 시상식에서 미국 선수 두 명의 불손한 태도 때문에 미국은 4×400m 릴레이 출전을 포기했다. 케냐는 4×400m 릴레이 결승에서 2분 59초 83으로 유일하게 3분 이내의 기록을 세워 금메달을 획득했다.
2년 후 코먼웰스 게임에서 400m와 4×400m 릴레이 2관왕을 달성했다.
2. 2. 전성기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에서 아사티는 200m 8강에 진출했고, 1600m 릴레이에서 케냐 대표팀 소속으로 2분 59.6초를 기록하며 은메달을 획득했다. 1970년 코먼웰스 게임에서는 400m와 1600m 릴레이 금메달, 200m 동메달을 획득했다.1972년 뮌헨 올림픽에서 아사티는 400m 4위를 기록했고, 1600m 릴레이에서는 케냐 대표팀의 일원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듬해 라고스에서 열린 올아프리카 게임에서는 400m와 릴레이에서 우승했다. 1974년 코먼웰스 게임에서 다시 400m와 1600m 릴레이 두 종목을 석권한 후 육상 경력을 마감했다.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에서 아사티는 단거리 3종목에 출전했다. 100m는 10.63초로 예선 탈락, 200m는 20.66초로 2차 예선에서 탈락했다. 그러나 헤제키아 냐마우, 나프탈리 본, 다니엘 루디샤와 함께 출전한 4×400m 릴레이에서는 미국에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1970년 스코틀랜드 에든버러에서 열린 코먼웰스 게임에서 아사티는 200m에서 20.74초로 동메달을 획득했지만, 400m에서는 45.01초로 금메달을, 4×400m 릴레이에서도 3분 3초 63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1972년 뮌헨 올림픽에서 아사티는 400m와 4×400m 릴레이에 출전했다. 400m에서는 미국의 금, 은메달 선수와 같은 케냐의 줄리어스 상에 이어 4위를 차지하여 메달 획득에 실패했다.
그러나 400m 시상식에서 미국 선수 두 명이 불손한 태도를 보였다는 이유로 미국은 금, 은메달 선수를 포함한 3명이 4×400m 릴레이에 출전할 수 없게 되어 출전을 포기했다. 덕분에 케냐에게 4×400m 릴레이에서 메달을 획득할 기회가 주어졌다. 4×400m 릴레이 결승에서 케냐는 2분 59초 83으로 출전 국가 중 유일하게 3분 이내의 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아사티는 2년 후 1974년 코먼웰스 게임에서 400m와 4×400m 릴레이 2관왕을 달성했다.
2. 3. 1972년 뮌헨 올림픽 4x400m 계주 금메달 비화
1972년 뮌헨 올림픽 400m에서 찰스 아사티는 4위를 차지하여 아쉽게 메달 획득에 실패했다. 하지만 400m 시상식에서 미국 선수 두 명이 불손한 태도를 보였다는 이유로, 미국은 4x400m 계주에 출전할 수 없게 되었다. 이로 인해 케냐에게는 큰 기회가 찾아왔고, 4x400m 계주 결승에서 케냐는 2분 59초 83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는 케냐가 이전에 획득했던 은메달보다 더 좋은 성적이었다.2. 4. 선수 경력 후반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 200m 8강에 진출하였고, 1600m 릴레이에서 2분 59.6초로 은메달을 획득한 케냐 팀의 일원이었다. 1970년 코먼웰스 게임에서 아사티는 400m와 1600m 릴레이에서 금메달을 획득하고, 200m에서 3위를 하였다.뮌헨 올림픽에서 그는 400m 4위를 하고, 케냐 1600m 릴레이 팀의 일원으로서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1972년 뮌헨 올림픽 400m 결승에서는 미국의 빈센트 매튜스와 웨인 콜렛에 이어 케냐의 줄리어스 상이 3위를 차지하였고, 아사티는 4위를 기록하여 아쉽게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 하지만, 400m 시상식에서 미국의 두 선수가 보인 태도가 문제시되어 미국은 4×400m 릴레이에 출전할 수 없게 되었다. 그 덕분에 케냐에게 큰 기회가 찾아왔고, 4×400m 릴레이 결승에서 2분 59초 83으로 케냐는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이듬해 라고스에서 열린 올아프리카 게임에서 400m와 릴레이를 우승하였다. 1974년 코먼웰스 게임에서 다시 양종목을 우승한 후, 자신의 육상 경력을 끝냈다.
3. 주요 경기 성적
연도 | 대회 | 개최지 | 종목 | 결과 | 기록 |
---|---|---|---|---|---|
1968 | 올림픽 | 멕시코시티(멕시코) | 4×400m 릴레이 | 2위 | 2분 59초 6 |
1970 | 코먼웰스 게임 | 에든버러(스코틀랜드) | 200m | 3위 | 20초 74 |
1970 | 코먼웰스 게임 | 에든버러(스코틀랜드) | 400m | 1위 | 45초 01 |
1970 | 코먼웰스 게임 | 에든버러(스코틀랜드) | 4×400m 릴레이 | 1위 | 3분 03초 63 |
1972 | 올림픽 | 뮌헨(서독) | 400m | 4위 | 45초 13 |
1972 | 올림픽 | 뮌헨(서독) | 4×400m 릴레이 | 1위 | 2분 59초 8 |
1973 | 전 아프리카 게임 | 라고스(나이지리아) | 400m | 1위 | 46초 31 |
1974 | 코먼웰스 게임 | 크라이스트처치(뉴질랜드) | 400m | 1위 | 46초 04 |
1974 | 코먼웰스 게임 | 크라이스트처치(뉴질랜드) | 4×400m 릴레이 | 1위 | 3분 04초 43 |
3. 1. 올림픽
그는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 200m 8강에 진출하였고, 1600m 릴레이에서 2분 59.6초와 함께 놀라운 은메달을 획득한 케냐 팀의 일원이었다. 뮌헨 올림픽에서 그는 400m 4위를 하고, 케냐 1600m 릴레이 팀의 일원으로서 금메달을 획득하였다.연도 | 대회 | 개최지 | 종목 | 결과 | 기록 |
---|---|---|---|---|---|
1968 |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 | 멕시코시티 | 4×400m 릴레이 | 2위 | 2분 59초 6 |
1972 | 1972년 뮌헨 올림픽 | 뮌헨 | 400m | 4위 | 45초 13 |
1972 | 1972년 뮌헨 올림픽 | 뮌헨 | 4×400m 릴레이 | 1위 | 2분 59초 8 |
3. 2. 코먼웰스 게임
1970년 영국 연방 경기 대회에서 아사티는 400m와 1600m 릴레이에서 금메달을 획득하고, 200m에서 3위를 하였다. 1974년 영국 연방 경기 대회에서 다시 400m와 1600m 릴레이 양 종목을 우승한 후, 자신의 육상 경력을 끝냈다.아사티의 코먼웰스 게임 성적은 다음과 같다.
연도 | 대회 | 개최지 | 종목 | 결과 | 기록 |
---|---|---|---|---|---|
1970 | 코먼웰스 게임 | 에든버러(스코틀랜드) | 200m | 3위 | 20초 74 |
1970 | 코먼웰스 게임 | 에든버러(스코틀랜드) | 400m | 1위 | 45초 01 |
1970 | 코먼웰스 게임 | 에든버러(스코틀랜드) | 4×400m 릴레이 | 1위 | 3분 03초 63 |
1974 | 코먼웰스 게임 | 크라이스트처치(뉴질랜드) | 400m | 1위 | 46초 04 |
1974 | 코먼웰스 게임 | 크라이스트처치(뉴질랜드) | 4×400m 릴레이 | 1위 | 3분 04초 43 |
3. 3. 전 아프리카 게임
1973년 라고스 전 아프리카 게임에서 찰스 아사티는 400m와 릴레이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